글로벌 경제/산업 동향 소개와 영향 분석에 특화된 보고서
주식/금융
산업/기업
국제경제
2016-11-28<요약> 국내 주요 산업들의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주식시장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미국 주식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코스피지수가 수년째 박스권에 갇혀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다우지수는 세계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이미 넘어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만약 국내 주식투자자가 2011년에 삼성전자와 현대차 대신 애플이나 테슬라에 투자했다면 훨씬 높은 수익률을 거두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모니터에서는 세 차례에 걸쳐 미국의 유망산업 및 기업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국제경제
2016-11-21정부정책
산업/기업
국제경제
2016-11-11<요약> 도널드 트럼프가 미 대선에서 승리했다. 대선캠페인 과정에서 막말과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물의를 빚고, 성추문에 휘말렸음에도 불구하고 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한 것은 제조업 붕괴와 중산층 위축과 같은 경제적 여건이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트럼프의 당선은 매우 우려할만하다. 세계 각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반세계화 움직임과 맞닿아 있을 뿐만 아니라, 트럼프가 추진하고자 하는 경제정책이 오히려 더 큰 부작용을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트럼프가 보호무역주의를 강하게 주장해온 만큼 한국경제에도 상당한 부작용이 예상된다.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설 필요가 있다.
정부정책
산업/기업
국제경제
2016-11-07<요약> 올해 들어 엔화강세와 마이너스 물가상승률이 지속되는 등 일본경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아베노믹스에 대한 회의론이 힘을 얻고 있다. 이에 이번 보고서에서는 일본경제의 회복을 더디게 하는 기업의 이익 독식문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아베노믹스가 시행된 이후 엔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기업실적이 개선되었으나, 일본 기업들은 이를 고용창출이나 투자에 활용하지 않고 내부에 비축해두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근로자들의 실질임금은 오히려 낮아졌다. 이 같은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일본경제는 저성장과 디플레 위험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주식/금융
국제경제
2016-10-30<요약> 최근 도이치뱅크 사태에서 보는 것처럼 유럽 은행위기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물론 도이치뱅크 사태가 단기간 내에 제2의 리먼사태와 같은 위기로 치닫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최근 몇 년간 유럽 은행들의 자본건전성이 개선되고 무수익채권 비율이 낮아지는 등 일정하게 상황이 호전되는 측면도 있다. 그러나 은행들의 수익성은 전반적으로 악화하고 있으며, 이탈리아와 그리스 등 일부 국가들의 무수익채권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올해 유럽은행감독청(EBA)이 실시한 스트레스테스트는 유럽 은행들이 경제위기 상황에서도 큰 충격을 받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지만, 가장 취약한 국가인 그리스와 포르투갈이 제외되고 일부 은행에 특혜를 준 것이 드러나면서 신뢰성에 큰 타격을 받았다. 이에 따라 유럽 은행위기가 재발할 가능성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정부정책
국제경제
2016-10-24<요약> 최근 미 연준의 경제학자들이 흥미로운 논문을 발표했다. 미 연준이 막대한 규모의 통화정책을 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경제의 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 저조한 핵심요인이 인구구조의 변화 때문이라는 것이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1946~1964년생)의 노화와 은퇴를 가장 중요한 변수로 지목했다. 이 같은 상황은 미국의 경제지표에도 나타나고 있으며, 따라서 미국경제의 저성장 기조는 상당 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과 급격한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어 이 같은 결과에 주목해야 한다.
정부정책
산업/기업
국제경제
2016-10-01<요약> 세계 핀테크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5년 세계 핀테크 투자액 규모는 2010년에 비해 10배 넘게 커졌으며, 특히 미국과 영국, 중국이 핀테크 강국으로 꼽히고 있다. 문제는 핀테크 산업의 성장이 기존 금융산업에 상당한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대형은행들이 제공하던 다양한 서비스들을 다수의 핀테크 회사들이 더 효율적으로 제공하게 되면서 큰 위협이 되고 있다. 한편 이 같은 상황에서 국내 핀테크 산업은 과도한 규제와 금융회사들의 주도권 다툼 등으로 정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부정책
국제경제
2016-09-26http://sdinomics.com/data/raf/page=11 URL복사